따로 챙겨보는 웹툰이나 웹툰채널이 있으신가요? 요즘은 웹툰, 모바일웹툰을 볼 수 있는곳이 너무 많아서 고르기가 힘들정랍니다. 옛날과 다르게 컨텐츠가 너무 많아서 골라서 봐야 하는 현실. 저같은 경우는 투믹스나 레진코믹스 네이버웹툰을 자주이용하는데요. 오늘 투믹스 이용하는 분들을 위해 포스팅을 합니다. 투믹스에서 연재중인 인기만화는 소년의 신성, 보스인스쿨, 고시원, 통엣지, 몸이라는 만화가 있는데요. 심심한데 어떤 만화를볼까하고 관심있으신분들은 투믹스의 TOP100메뉴에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투믹스를 이용하기 위해 네이버 같은 포털사이트에서 투믹스 를 검색해서 공식홈페이지로 검색합니다. 투믹스 공식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 투믹스 공식홈페이지의 우측상단에 보면 쿠..
지난주에 핵이슈가 하나있었죠? 바로 군복무 단축 18개월 에 대한 내용이었는데요. 이번 문재인정부에서 국정 100대 과제를 발표했었습니다. 그 국정 100대 과제 안에 군복무 단축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에 따라 10대부터 20대들에게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네요. 대한민국 남자라면 가야하는 군대. 이왕이면 짧게 가는게 좋겠죠? 예전엔 2년이 훌쩍 넘었었는데 지금은 18개월까지 단축된다고 하니 흥미가 가지않을 수 없네요. 아무튼 군복무 단축 언제부터 적용되는지와 그에 따른 병역자원 수급대책이 궁금해지네요. 이번발표는 19일에 이루어졌으며 군복무 3개월단축은 육군뿐만 아니라 해군 해병대 공군 모두 해당된다고 합니다. 아직 구체적인 방안이 나온것은 아니고 정확한 시행일자가 나온것도 아니라고 합니..
오늘 생활정보 포스팅에서는 경동화물 영업소 및 지점 조회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PC와 스마트폰을 이용해 택배주문이 생활하 되고 택배 배송기간 또한 엄청나게 줄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좀 더 빨리 수령하거나 화물같은 택배 배송을 위해 영업소 조회가 필요할 때가 있다. 그 중 경동화물 영업소 조기수령을 위해 조회를 하거나 크기가 매우 크거나 중량이 무거운 화물의 경우 경동화물 영업소 나 지점을 통해 배송을 한다. 특히 경동화물은 타사 대비 영업소가 2배 정도 많다고 하니 참고하길 바란다. 먼저 경동화물 영업소 지점 영업시간은 07:00 ~ 20:00 까지이며 95%이상의 차량이 신형이라고 하며 차량동 배송물량이 적은점이 장점이라고 한다. 경동화물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홈페이지 및 포..
이전 포스팅에서는 레진코믹스 쿠폰 과 레진코믹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해 다루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레진코믹스 포인트 사용 방법과 포인트과 코인의 차이에 대해 다룰 예정이다. 본인이 웹툰을 접할때에는 다음웹툰 또는 네이버웹툰이 있었다. 요즘 시대에는 스마트폰의 대중화로 인해 레진코믹스, 탑툰 등 다양한 웹툰 플랫폼이 존재한다. 이런 웹툰들도 PC를 통해 웹브라우저로 보는 방법이 있고 스마트폰을 통해 앱 또는 웹을 통해 보는 방법이 있다. 레진코믹스에서는 코인과 포인트라는 두가지 제도가 존재하는데 코인의 사용방법과 포인트의 사용처 및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홈페이지에 자세한 설명이 있을지도 모르지만 본인은 그 설명을 찾지못해 한참을 헤매다 나중에 겨우 알아내었다. 먼저 레진코믹스를 ..
오늘 포스팅에서는 웹툰과 관련된 내용을 다룰것이다. 예전에는 웹툰하면 다음 또는 네이버를 통해 봤었는데 요즘에는 레진코믹스, 탑툰 등등 많은 웹툰 플랫폼이 존재한다. PC를 통해 웹브라우저로 보는 방법이 있고 스마트폰을 통해 앱 또는 웹을 통해 보는 방법이 있다. 본인도 둘다 이용해 웹툰을 보곤 한다. 요즘 웹툰은 예전과 다르게 수위가 상당히 높다. 물론 19세 인증을 하긴 하지만 수위가 높은 건 어쩔수 없는 부분이다. 그리고 웹툰 특성상 한번 보면 자연스레 끝까지 보고싶어진다. 그런데 경제적 여건이 안되어 또는 웹툰을 비용을 쓰는게 아까워서 무료로 찾는 경우가 꽤 많다. 그래서 웹툰을 보기위해 특히 레진코믹스를 보기 위해 쿠폰을 받거나 다른방법으로 무료로 보는경우가 있는데 오늘 포스팅에서는 레진코믹스 ..
얼마전 문화누리카드 사용하는 분들에게 유용한 포스팅을 했었다. 문화누리카드 잔액조회하는 방법에 대한것이었는데 오늘은 문화누리카드 사용처 에 대해 포스팅하려 한다. 문화누리카드는 온라인 오프라인 관계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물론 년 6만원 이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문화누리카드는 2017년 기준 2월부터 12월까지 6만원이 지원되며 전액 사용하지 못할경우 국가로 지원금이 반납된다. 다음해로 이월된다거나 현금으로 교환이 불가능한 카드이니 최대한 많이 이용하는것이 좋겠다. 사실 문화생활을 즐기는 데 년 6만원이면 많은돈은 아닐것이다. 간단하게 문화누리카드에 대해 설명하자면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지원하면 제도이며 경제적, 사회적, 지리적으로 어려움을 겪어 문화예술을 누리기 힘들분들에게 지원하는 카드이다. 각종 공연..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지원하는 제도가 있다. 바로 문화누리라는 제도인데 문화누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문화누리카드가 필요하다. 먼저 문화누리란 경제적,사회적,지리적으로 어려워 문화예술을 누리기 힘들분에게 지원하는 제도이다. 공연이나 전시회, 영화 등 다양한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관람이나 음반구입, 도서구입과 더불어서 국내여행과 스포츠 관람까지 이용할 수 있는 카드이다. 문화누리카드는 이전에 통합문화이용권이란 이름으로 불러있으며 문체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17개 광역시도가 주관하며 문예진흥기금으로 운영되고 있다. 문화누리카드의 지원금액은 연간 6만원이 지원된다. 사용기간은 이번년도(2017년)기준 2월 17일부터 12월 31일까지이다. 사용하지 않은 금액은 국가로 반납되며 다음해로 이월되..
캐시비(CASHBEE)라는 카드가 있다. 캐시비라는 것은 이비카드에서 만든 교통카드로 2010년에 출시된 카드이다. 티모아카드와 롯데멤버스의 마일리지를 통합해서 만든카드라고 한다. 티머니는 수도권이나 광역시군에서 사용될 만큼 사용처가 광범위하다. 티머니보다는 이용률이 떨어지지만 여러모로 특히 청소년에게 유용한 카드라고 하니 오늘 포스팅에서 캐시비 청소년등록 하는방법을 통해 혜택을 받아보도록 하자. 혜택이라는 부분은 교통카드로만 사용하는것이 아니라 사용가능한 가맹점에서 현금처럼 결제가 가능한 부분이다. 사용처에 대해서도 알아볼 예정이다. 특히 요즘에는 모바일 캐시비를 이용하여 잔액조회와 캐시비 카드를 사용한 내역도 조회가 가능하다고 한다. 점점 시대가 좋아지고 편리해져 카드한장으로 많은것을 해결하고 스마트..
우리나라와 대도시에는 왠만하면 지하철이 다닌다. 오늘은 그 중 부산 지하철 정기권 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출퇴근이나 등하교를 위해서는 대다수가 대중교통을 이용하는데 본인은 버스보다는 지하철을 선호하기에 지하철 정기권 구입 과 가격 등에 대해 알아볼까 한다. 지하철 이용시 보통 일반교통카드(선불권), 신용카드를 이용한 후불권 등을 자주 이용하는데 잃어버릴경우 굉장히 짜증나므로 정기권을 추천하곤한다. 부산 지하철 정기권은 1일권, 7일권, 한달(1개월)권으로 나뉘어져 있다. 부산도시철에서 운행 중인 부산 지하철 1호선, 4호선의 모든 지하철에서 이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정기승차권의 가격은 1일권 5,000원 7일권 21,000원 1개월권 60,000원으로 구분되어 있다. 1일권은 발매당일에 사용가능하며 ..
가상화폐가 요즘 정말 대세이다. 작년까지만해도 가상화폐라고 하면 대부분 비트코인만 접해보거나 들어봤을텐데 지금은 그 종류가 두손으로 세기가 어려울 정도로 많아졌다. 그 중 오늘은 이더리움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먼저 이더리움(Ethereum) 또는 이시리움이란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또는 프로그램언어라고 한다. 비탈리크 부테린이란 사람이 개발하였으며 가상화폐인 비트코인을 착안하여 C++, 자바, 파이썬, GO 등 주요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고 컴퓨터 자원을 활용한다. 이더리움에는 EEA라고 불리우는 블록체인얼라이언스(Enterprise Ethereum Allience)가 있다. 이는 글로벌 블록체인 연합체라는 의미이는 JP모건, 마이크로소프트, UBS 등이 참여되어있으며 우리나..
이번 포스팅은 통신사 중 SKT 에서 제공하는 부가서비스 인 마이스마트콜에 관한 포스팅이다. 사정상 스마트폰을 여러대 보유하고 있지만 사실 유료 부가서비스를 사용할 일은 드물다고 본다. 마이스마트콜은 유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히 괜찮은 서비스인것 같아 따로 포스팅한다. 부가서비스는 필요에 의해 사용하기보다는 핸드폰 구입시 저렴하게 판매하는 대신 일정기간 부가서비스를 사용하게 약정을 하곤 했는데 그런 용도로만 가입해본 것 같다. 마이 스마트콜은 모바일 또는 인터넷으로도 가입 가능하며, 한달요금은 2,200원으로 책정되어 있다. 마이스마트콜이 가지고 있는 기능은 5가지로서 요약하면 콜키퍼, 안심문자, 통화기능통보플러스, 착신전환일반, 개별통화수신거부 기능이다. 여기서 어렴풋이 들어본 용어들이 있을것이다. 특히 ..
요즘에는 스마트폰이 일년에도 수십개가 쏟아져 나온다. 우리나라 제품만해도 삼성, LG, 스카이에서 나오는 모델들이 정말 많다. 거기에 애플제품, 소니제품, HTC 등 까지 합치면 선택의 폭이 너무 넓어서 고민이 될 것이다. 한가지의 스마트폰을 사용하다 다른 제품이 맘에 들경우 두개를 가지고 다니기보다는 번호이동이나 기기변경으로 구입하는 경우가 많을텐데 약정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변경하게 되면 위약금을 내는 경우가 발생된다. 그래서 오늘은 위약금, 그중에서도 KT 위약금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려 한다. 통신사는 KT에만 해당되며 KT에서 다른 통신사로 갈아탈 경우에는 내야할 위약금이 없는지 미리 알아보는 편이 덜 당황할 것이다. 먼저 포털사이트에서 올레 또는 olleh라고 검색하여 KT 공식홈페이지로 ..